뉴 예루살렘에 거주하는 인간(로봇)들의 목록이다.
숫자 순서대로 작성, 개별 문서는 링크처리함, 중복언급되는 인물은 앞에만 서술.
주인공들
Athena(1). 1편의 주인공.
1k(1000). 2편의 주인공.
TTP-2 원정대
바이런
여행 작가 로버트 바이런(1905-1941)의 이름을 딴 바이런은 최초의 동반자이자 게임에서 가장 중요한 등장인물 중 하나입니다. 탐험가이자 타고난 낙관주의자인 그는 알렉산드라 드레넌의 인본주의적 이상을 절대 포기하지 않았고, 지금의 뉴 예루살렘이 가는 길에 깊이 불만을 품습니다. 그는 훌륭하고 영감을 불러일으키지만, 수년간의 좌절로 인해 그는 성급하고 때로는 자신과 의견이 다른 사람들에게 살짝 무례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Byron(7). 원정대장. 최초의 동반자 중 한 명. 뉴 예루살렘이 목표에 신봉하며 발전없이 정체되어 있는 상황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는다. 메가스트럭처의 기술을 찬성하는 입장. 메가스트럭처에서 1k가 정신을 잃은 사이 새로 시장에 당선된다.
심연 속으로의 주인공. 아테나의 꿈에서 퍼즐을 풀어나간다.
뉴 예루살렘 이름 선정 투표 때 베리 뉴욕, 로봇 파리 같은 말장난을 후보로 밀었다.
멜빌
북극 탐험가 조지 W. 멜빌(1841-1912)의 이름을 딴 멜빌은 자신의 말로 표현하면 "뉴 예루살렘의 유일하게 괜찮은 엔지니어"입니다. 퉁명스럽고, 냉소적이며, 종종 짜증을 잘 내는 그녀는 수 세기 동안 도시를 유지보수 해왔습니다. 그녀의 딱딱한 겉모습 아래에는 세상을 진정으로 아끼는 사람이 있으며, 메가스트럭처가 무엇을 제공할 수 있는지 깨달았을 때, 변화를 갈망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Melville(142). 과학 및 엔지니어링. 시니컬한 말투와 태도를 가지고 있다. 코넬리우스가 개량한 신형 소마로 탄생한 첫 로봇. 메가스트럭처의 기술을 찬성하는 입장이지만 1k의 대화에 영향을 받고 생각을 바꿀 수도 있다.
사진을 정말 못 찍는다.
알카트라즈
알카트라즈는 바이런의 절친이지만, 인류와 문명을 바라보는 그의 관점은 거의 정반대입니다. 그는 인류에 대해 비판적이고 그들이 겸손함을 유지하고 확장을 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에게는 바이런에 대한 균형추를 갖는 것이 매우 중요했고, 그러기 위해서 알카트라즈가 자신의 견해를 합리적이고 유창하게 표현하여 공감할 수 있는 등장인물이 되도록 해야 했습니다. 물론 그도 자신만의 단점이 있어야 했습니다.
Alcatraz(264). 탐험부대장. 바이런의 오랜 친구지만 성향은 반대. 뉴 알렉산드리아 사고 당시 큰 부상을 입어서 죽을 뻔했다. 메가스트럭처의 기술을 반대하는 입장.
짧게 알(Al)이라고 부른다.
데모 버전에서는 숫자가 390이었다. 이유 불명.
야쿠트
지리학자 야쿠트 알-하마위(1179-1229)의 이름을 딴 야쿠트는 여전히 자신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등장인물입니다. 그는 탐험을 좋아하지만 성장을 제한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보며, 메가스트럭처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잘 모릅니다. 그의 유머 감각은 때때로 자신의 불안감을 숨기고, 어떨 때는 특히 죽음과 상실에 관해서 매우 우울해집니다.
Yaqut(764). 항법사. 수직이착륙기 조종수. 미란다가 죽었다는 것을 알자 메가스트럭처의 기술을 위험하다고 생각하지만, 미란다가 부활하면 생각을 바꾸고 1k에게 메가스트럭처의 기술은 가치가 있다고 말한다. 미란다를 마음에 두고 있었는지 그녀가 죽었다는 것을 알자 아쉬워했으며, 미란다 부활 루트를 진행하면 엔딩 추가 쿠키영상에서 더듬거리며 데이트 신청을 한다.
축복받은 자들의 섬의 주인공. 미란다와 커플 관계로 잘 발전한다. 아테나 가족과 전시회로 여행을 떠나 바르자이의 퍼즐을 전부 푼다.
애완동물로 고양이 브루스가 있다.
원형 오아시스에서 모래가 싫다는 대사를 하는데 스타워즈의 유명한 밈 'I don't like sand'를 패러디한 것.
1k(1000).
최초의 동반자
First Companion. 아테나와 함께 뉴 예루살렘을 세운 최초의 로봇들. 총 12명. 내 추측이지만 12사도를 표현한 것 같다. 엘리시움 엔딩 시점에서 죽은 예모와 실종된 리프트라시르를 제외하고 전부 생존 추정.
에우스타티우스
Eustathius(2). 뉴 알렉산드리아 사고의 책임을 지고 공직에서 은퇴. 에우스타티우스와 코넬리우스는 다른 동반자들과 달리 아테나가 깨어난 직후 비슷한 시기에 깨어났으며, 다른 동반자들과 달리 서로를 편하게 대한다. 당연히 에우스타티우스가 형.
코넬리우스
Cornelius(3). 시뮬레이션 박물관에 있다. 아테나와 TTP-2의 진실을 알고 있었으나 함구했다.
오로라
Aurora(4). 이름을 탈로스 팀의 과학자 오로라 캘빈에게서 따왔을 수 있다.
선
Sun(5). 이름을 탈로스 팀의 과학자 쑨 웨이-양에게서 따왔을 수 있다.
사라바이
Sarabhai(6). 이름은 탈로스 팀의 과학자 나드야 사라바이에서 따왔다. 뉴 알렉산드리아 사고로 사망. 코넬리우스가 작성한 노트의 내용대로 오르페우스의 승천에서 미란다에게 적용한 기술로 부활한다.
바이런
Byron(7).
멜람푸스
Melampus(8). 솜노드롬의 아이디어를 처음 고안했다.
예모
Yemo(9). 뉴 예루살렘 건설 도중 사망. 처음으로 사망한 로봇이다.
히파티아
Hypatia(10). 뉴 예루살렘 설립기를 작성했다. 사라바이와 함께 지냈다. 죽은 사라바이는 성우가 나중에 붙었는데 정작 오래 살아있던 히파티아는 성우가 없이 2편이 끝났다.
니아므
Niamh(11). 소셜 미디어 고정 관리자. 게헨나 전시장에 있다.
베나로야
Benaroya(12). 채팅에 등장.
리프트라시르
Lifthrasir(13). 방랑자. 모험심이 강한 로봇으로 충전기를 챙기고 여정을 떠나 자주 도시에 머무르지 않는다. 섬에 음성 로그가 있다. 12번째 로그에서 그와 그의 제자들이 아테나와 코넬리우스를 돕기 위해 뉴 알렉산드리아의 남은 자재를 섬으로 운반해 도와준 것이 드러난다.
축복받은 자들의 섬 시점에서도 여전히 실종 상태.
음성 대화가 가능한 시민들
네이쓰
Neith(33). 1k가 현실에서 깨어나고 마주하는 첫 번째 로봇. 친절하게 여러가지를 설명해준다. 1k의 탄생으로 시민이 더 만들어지지 않을 수도 있게 되자 늘 해오던 일이 사라질 수도 있어서 살짝 낙담한다.
다행히도 축복받은 자들의 섬에서 수많은 시민들이 새로 생겨나며 일이 끝나지 않고 대폭 증가했다.
데모 번역은 니스였다.
챈시
Chancey(88). 정원사.
헬가
Helga(101). 상인. 도지의 비밀 친구.
말두크
Malduc(202).
도시클레스
Dosikles(299). 고고학 정원에 있다. 사랑에 관한 이야기를 한다. 특이사항으로는 성우가 크로팀의 간판 작품 시리어스 샘 시리즈의 주인공인 시리어스 샘의 성우 존 딕(John J. Dick)이다.
랜드
Rand(303). 아카이브 학자. 도지의 비밀 친구 중 다섯 번째.
제퍼슨
Jefferson(367). 알렉산드라 드레넌 기념관에 있다.
자크스
Jacques(420). 외계인 음모론자. 전작의 록웰 포지션을 계승한 캐릭터. 온갖 스레드에 외계인 언급이 빠지지 않는다. 별을 다 모으고 아테나의 환영을 보면 자신이 옳았다고 의기양양한다.
참고로 숫자 420은 대마초의 은어. 그래서 주장이 약 빤 것 같다.
헤르마누비스
Hermanubis(452). 탈로스 법칙 2 시점 뉴 예루살렘 시장. 설립자의 '목표'를 신봉하며 발전을 줄이고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야 한다는 입장. 게임을 진행하며 아테나의 진실을 깨달은 1k에게 자신의 목표는 신화에 불과하다고 털어놓는다. 이를 받아들이는지는 플레이어의 선택.
축복받은 자들의 섬에서 시장 낙선 후 뒷이야기가 공개되는데 나름 잘 지내면서 멜빌한테 호감을 표현하고 있다. 당연히 그 소식을 들은 등장인물들은 경악. 멜빌은 더욱 질색한다.
다들 짧게 헤르만이라고 부른다.
뤼녹스
Lynerks(587). 공학자.
렌
Wren(632). 도시 뒤편에 있는 건축가.
크라이어
Cryer(656). 기자.
도지
Doge(666). 비밀 사회의 일원. 원정대 브리핑 전에 1k에게 말을 건다. 제안을 수락하면 5명 중 하나를 1k에게 소개시켜준다.
바르자이.
Barzai(707). 예술가. 축복받은 자들의 섬에서 퍼즐 전시회를 만들고 개최한 로봇.
벨마쉬
Belmarsh(792). 고고학 정원에 있다.
제러미
Jeremy(832). 시장의 비서. 헤르마누비스가 시장일 때 소셜 미디어 관리를 맡는다.
데클라
Thecla(862). 목표 신봉자. 아테나를 숭배하고 바이런을 기만자라 부른다. 말싸움이 가능하다. 축복받은 자들의 섬에서 아테나가 복귀하고 사회가 바뀌자 개심하고 멀쩡해진다.
아탈
Atal(890). 동물들의 고통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로봇. 축복받은 자들의 섬에서 생태계 윤리 실무단을 이끄는데, 무려 에리다누스 자리 엡실론에 연구소를 두고 있다. 참고로 지구와의 거리는 10광년. 즉 로봇들은 이 시점에서 웜홀을 이용한 초광속 이동과 함께 태양계 외부에 거점을 마련할 기술과 자원을 가진 것이다.
이름의 모티브는 H. P. 러브크래프트의 울타르의 고양이에서 나오는 아탈.
참고로 아탈의 프로필 사진은 클리블랜드 미술관에 있는 조선시대 그림 호랑이 가족도다. 어쩐지 눈에 익다 싶었지.
데미엔
Damien(903). 다양한 장소에서 전력 문제로 시위한다. 헤르마누비스 시장이 재선되면 졌다고 자조한다.
슐러
Schuyler(923). 수다스러운 사인 덕후. 예모와 사라바이를 제외하고 모든 최초의 동반자 사인을 모았다고 한다. 시뮬레이션 박물관 앞에 있다.
퍼플
Purple(998). 보라색이다. 말투가 특이하다. 1k의 조언으로 보이스팩을 바꿀 수 있다. 즉 성우가 여러 명 붙어있다. 다양한 곳에 출몰.
Miranda(α). 뉴 예루살렘 출신은 아니지만 엔딩 이후 정식 시민이 된다.
엘모어
Elmore(1042). 축복받은 자들의 섬에서 등장. 일반적인 로봇들을 구성하는 황금 원반의 인격 대신 엘로힘의 인격이 들어간 엘로힘의 분신 같은 존재. 엘로힘과의 차이점은 농담을 할 줄 안다고 한다.
당연히 성우는 엘로힘과 동일한 팀 왓슨.
소셜 미디어에 주로 등장하는 시민들
스틸턴
Stilton(22).
카네다
Kaneda(99). 슐러가 사인을 받았다고 자랑할 만큼 유명한 듯.
담얀
Damjan(112). OST를 담당한 담얀 므라부나츠를 패러디한 캐릭터, 시청 엘레베이터 분수대 옆에 앉아서 기타를 치고 있는데 연주하는 음악은 1편의 OST 'The Dance Of Eternity'를 변주한 곡이다. 축복받은 자들의 섬에서는 콘서트도 열고 소셜 미디어에서 질의응답도 하는데 대놓고 이름을 담얀 므라부나츠에서 따왔고, 1편과 2편의 곡들을 자신이 작곡했다는 셀프 패러디를 볼 수 있다.
에메쉬
Emesh(150).
밋쿠
Mitku(166). 바이런이 시장일 때 소셜 미디어 관리를 맡는다. 시뮬레이션 박물관 아카이브 구역에서 자주 놀고있다.
자고란
Zagoran(211).
엘윈
Elwin(258). 랜드가 시장일 때 소셜 미디어 관리를 맡는다.
아우리니아
Aurinia(342).
스톨로
Stolo(366).
시바와이
Sibawayh(402).
리비스트로스
Lybistros(427).
아로낙스
Arronax(430). 소셜 미디어 고정 관리자.
트린쿨로
Trinculo(611). 흔히 인터넷에 등장하는 단답형 일침충. 번역도 음슴체를 사용해서 더 리얼하다. '세 줄 요약좀'이나 '길어서 안읽음'같은 명대사가 있다.
모티브는 미란다처럼 셰익스피어의 '템페스트'에 나오는 광대 트린쿨로로 보인다.
로담네
Rhodamne(727).
프레드
Fred(766). 프롤로그에서 1k에게 말을 건다. 미란다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자 공황에 빠져 소셜 미디어에서 발작한다.
프랭클린
Franklin(776).
펠레그리노
Pellegrino(800). 허당 엔지니어. 멜빌한테 갈굼 받는 녀석. 여러모로 신뢰도가 떨어지는지 악명이 자자하며 헤르마누비스를 시장실에 1주일 감금했다던지 양동이로 죽을 뻔했다던지 여러 업적?이 많다. 조연 주제에 엔딩에서 언급된다. 해저도시 이름에 랩처를 밀었다.
레티티아
Letitia(824). 프롤로그에서 1k에게 말을 건다.
악시오테이아
Axiothea(842).
로빈
Robin(901). 프롤로그에서 혼잣말을 한다.
오비스
Ovis(909).
아델보크
Athevlok(910). 화가. 파리, 뉴욕, 아테네, 뉴 예루살렘의 도시 그림을 그렸다.
이름을 보면 알겠지만 번역에 실수가 있다. '아데블로크'가 맞다.
부다하스
Budahas(917).
구타
Guta(972). 게헨나 전시장 언쟁 시뮬레이터 제작자.
지미암비아
Zimiamvia(994).
탈레스
Thales(1007). 축복받은 자들의 섬에 등장.
베자드
Behzad(1121). 축복받은 자들의 섬에 등장.
스테파니
Stephanie(1491). 축복받은 자들의 섬에 등장. 축복받은 자들의 섬 기준으로 번호가 가장 높은 로봇. 즉 2편 엔딩에서 1k 이후로 시민들이 엄청 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타
아케이디/아르카디
Arkady(14). 이름은 아르카디 체르니셰프스키에서 따왔는데, 번역은 아케이디로 되어있으니 뭔. 최초의 동반자 이후 처음 탄생한 로봇으로. 예모의 사망 이후 태어났다.
구오
Guo(20).
에우헤메로스
Euhemeros(72).
메이본
Mabon(73). 벤치에 앉은 쌍둥이 형제, 외형이 동일하다. 서로 대화를 길게 나눈다.
아타나시오스
Athanasios(121).
트래뷰셋
Trabuchet(216).
트리클리누스
Triclinius(333).
투야
Thuya(465).
요세푸스
Josephus(558). 불평섞인 혼잣말.
야니스
Yarnith(640).
파드메
Padme(704). 스타워즈의 등장인물 파드메 아미달라와 이름이 동일하다. 크로팀의 패러디 실력을 생각하면 스타워즈 드립일 수도 있다.
랜돌프
Randolph(777).
코라존
Corazon(815). 게헨나 전시장 아틀란티스의 유령 제작자.
쿠엔틴
Quentin(852).
스푸그나
Spugna(932).
벨제르잔
Belzerzan(943).
랫
Rat(980). 게헨나 전시장 제퍼슨 골드붐과 근대의 망령 제작자.
쉠프
Shemp. 숫자 불명. 랜드 시장 당선-기계 정지 엔딩에만 나온다.
칼뱅
Calvin. 숫자 불명. 사망했다고 알카트라즈가 언급. 코넬리우스의 노트에는 미란다나 사라바이와 달리 부활이 불가능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름이 '캘빈'일 가능성이 있다.
아이작
Issac. 숫자 불명. 사망했다고 알카트라즈가 언급.
Mos(69)
Godot(999)
조나스 키라체스가 언급.
숫자 순서 나열
아테나
에우스타티우스
코넬리우스
오로라
선
사라바이
바이런
멜람푸스
예모
히파티아
니아므
베나로야
리프트라시르
여담
'탈로스 법칙 시리즈 > 등장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란다 (0) | 2024.11.30 |
---|---|
밀토힘 (0) | 2024.11.30 |
시뮬레이션의 프로그램 (0) | 2024.11.19 |
스타게이라의 스트라톤 (4) | 2024.11.16 |
MLA (0) | 2024.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