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탈로스 법칙 시리즈/기타 4

탈로스 법칙과 소마의 유사점/차이점

레딧 번역. 나도 재밌게 했던 유명 호러 게임 소마(SOMA)와 관련한 글이다. 작가가 직접 답글을 남겨서 번역했다. 탈로스 법칙과 소마 스포일러 유의. "현실이란, 그것을 믿지 않아도 사라지지 않는 것이다." 필립 K. 딕의 유명한 명언으로, 소마의 시작 문구입니다. 재밌는 점은 똑같은 문구가 탈로스 1 터미널 문서에 있다는 것입니다!탈로스 법칙은 2014년에 출시된 크로팀의 퍼즐 게임이고, 소마는 2015년에 출시된 프릭셔널 게임즈의 호러 게임입니다.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두 게임은 흥미로운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습니다.첫 번째, 인류가 메인 게임 시작 전에 멸종했습니다. 탈로스 법칙은 영구동토층에서 풀려난 바이러스 범유행, 소마는 '텔로스'라는 이름의 혜성 충돌입니다.두 번째, 둘 다 ..

탈로스 법칙에 영향을 준 것들

단순한 구절 인용이 아닌 작품들 목록. 내 뇌피셜을 배제하기 위해 공식 언급만 적기로 했다.  그리스 신화 아르고호 원정 - 탈로스.  성경 창세기(Genesis). 에덴 동산의 재해석.  실낙원(Paradise Lost) 밀턴.  윌리엄 블레이크(William Blake)의 작품 다수 천국과 지옥의 결혼, 예루살렘 등.  템페스트(The Tempest)디지털 아트북에서 언급. 금지된 행성(Forbidden Planet)Bilbao International Games Conference 2024에서 언급.

1편 텍스처 속 한글

탑 꼭대기 케이블 앵커와 고정 송풍기에는 뜬금없이 한글이 있다. 헌옷수거함의 금속 재질이 낡아 보이긴 하지만 이런 곳에 사용할 줄이야. 요즘은 전부 '의류수거함'이라는 명칭으로 불려서 사진 찾기도 힘들다. 제일 비슷한 게 이거. 송풍기의 한글은 2편과 재각성에서는 사라졌지만, 케이블 앵커는 재각성에서도 그대로다!

탈로스'의' 법칙?

가끔 인터넷을 뒤져보면 탈로스 법칙이 아니라 탈로스'의' 법칙으로 잘못 표기하는 사람들이 많다. 아니 왜? 비단 커뮤니티 뿐만 아니라 게임 웹진들도 실수를 저지르고 있다. 일단 공식 번역부터가 '탈로스 법칙'이다. 이는 1-2편 공통이며 발번역 투성이인 1편에도 이 번역만큼은 바르게 되었다. 무엇보다 원제가 'The Talos Principle'인데 '의'가 들어갈 자리는 없다. 아니면 그냥 번역하지 말고 '더 탈로스 프린시플'이라고 하던지. 이게 다 1편 번역이 개판이라 팬덤이 제대로 자라나지 않고 통일되지 않아서 생기는 일이다. 글 하나의 주제로 삼기엔 너무 잡소리가 많고 짧지만, 어쩌겠는가. 자주 보이는 실수인데.

728x90
반응형